본문 바로가기

경제주간지2

경제 주간지 비교(종류, 구독료, 무료로 보는 법) 주식 투자를 하거나 경제 분야 티스토리를 운영하신다면 이슈에 민감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초 단위로 업데이트되는 뉴스 때문에 오히려 종목 선정이나 글감 찾기가 혼란스러우실 겁니다. 저는 이럴 때 경제 주간지를 읽는데 아래 글을 읽고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종류 매경이코노미(매일경제)이코노미스트(이데일리)한경비즈니스(한국경제)이코노미조선(조선일보)머니 S(머니투데이)경제 주간지 종류는 굉장히 많지만 사람들이 많이 읽고 서점에 잘 비치되는 것 위주로 나열해 봤습니다. 처음 선택을 하시는 거라면 바로 구독신청을 하기보다 먼저 대형서점에 가서 위 주간지들을 주욱 훑어보시기 바랍니다. 사실 대부분 잡지사들은 최근 경제 이슈를 다루기 때문에 내용 자체는 대동소이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좀 더 자세히 비교를 해보고 싶.. 2023. 3. 11.
글 쓰는 근육 키우는 3가지 방법 불과 100년 전까지만 해도 전 세계 문맹률은 높았습니다. 글을 쓰기는커녕 읽을 수조차 없는 사람들이 더 많았습니다. 그래서 펜은 권력이다라는 말이 나온 겁니다. 하지만 요즘 시대에는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소수 엘리트들에게 지배당하며 살고 있습니다.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엘리트들은 대부분 글이라는 매체에 친숙하다는 겁니다. 엘리트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저는 큰 기업의 회장실이 떠오릅니다. 회장님들은 보통 신문을 몇 개씩이나 보시죠. 우리나라 최고의 엘리트 서울대생도 마찬가지입니다. 공부 못하는 서울대생을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요? 공부는 책을 읽거나 읽은 내용은 정리하면서 하는 거죠. 이렇듯 엘리트들은 글과 매우 친하고 잘 다룹니다. 우리 같이 .. 2023. 2. 28.